맨위로가기

투앙쿠 압둘 라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투앙쿠 압둘 라만은 1895년 느그리슴빌란에서 태어나, 느그리슴빌란의 통치자이자 말레이시아의 초대 국왕(양 디-페르투안 아공)을 역임했다. 그는 말레이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고, 영국에서 법학을 전공하여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으며, 1933년 아버지의 사망 이후 느그리슴빌란의 통치자가 되었다. 1957년 독립 말라야의 초대 국왕으로 선출되어 5년간 재임했으며, 1960년 사망 시까지 느그리슴빌란의 통치자였다. 그는 의회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을 보여주었으며, 말레이시아 링깃 지폐에 초상화가 등장하는 등 유산을 남겼다. 슬하에 여러 자녀를 두었으며, 그의 아들들이 느그리슴빌란의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느그리슴빌란주 출신 - 가파르 바바
    가파르 바바는 1925년 태어나 믈라카 주 수상과 부총리를 역임했으며, UMNO 당에서 활동하다가 1993년 부총리직에서 물러났고 2006년 사망했다.
  • 느그리슴빌란주 출신 - 량징루
    량징루는 말레이시아 출신 가수로, 1997년 대만에서 데뷔하여 '용기' 등의 히트곡으로 중화권에서 인기를 얻었으며, 꾸준한 음악 활동과 다양한 앨범 발매, 영화, 드라마 출연 및 예능 프로그램 멘토 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고 있다.
투앙쿠 압둘 라만
기본 정보
압둘 라만, 1950년대 경
이름압둘 라만
전체 이름툰쿠 압둘 라만 이브니 툰쿠 무하마드
왕명툰쿠 압둘 라만 이브니 알마르훔 툰쿠 무하마드
출생일1895년 8월 24일
출생지이스타나 라마 스리 므난티, 스리 므난티, 느그리슴빌란, 말레이 연합주
사망일1960년 4월 1일
사망지쿠알라룸푸르, 말라야 연방, 이스타나 느가라, 잘란 이스타나
매장일1960년 4월 5일
매장지스리 므난티 왕실 묘지, 스리 므난티, 느그리 슴빌란, 말라야 연방
종교수니 이슬람
통치
느그리슴빌란의 양 디-페르투안 베사르재위 기간: 1933년 8월 3일 – 1960년 4월 1일
대관식: 1934년 4월 25일
이전: 무하마드
이후: 무나위르
말레이시아의 양 디-페르투안 아공재위 기간: 1957년 8월 31일 – 1960년 4월 1일
대관식: 1957년 9월 2일
이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서)
이후: 히삼무딘
가문
가문파가루융 (얌투안 라덴 가문)
아버지툰쿠 무하마드 이브니 알마르훔 툰쿠 안타
어머니툰쿠 할리자 빈티 툰쿠 무다 칙
배우자 및 자녀
배우자치크 엥쿠 마이무나 빈티 압둘라 (둘시 캠벨)
툰쿠 마하룬 빈티 텡쿠 맘방
툰쿠 쿠르시아 빈티 툰쿠 브사르 부르하누딘 (1929년 결혼 – 1960년 사망)
툰쿠 자이다 빈티 툰쿠 자카리아
자녀툰쿠 아이다
툰쿠 자파르
툰쿠 쉴라
툰쿠 압둘라
툰쿠 무나위르
툰쿠 바히야
툰쿠 샤하리아
툰쿠 노라이다 자키아
아들파라 에이자툴

2. 초기 생애 및 교육

1937년의 압둘 라만


1895년 8월 24일 느그리슴빌란 스리 므난티에서 태어났다.[1] 현대 느그리슴빌란의 초대 양 디-페르투안 베사르(1888–1933)이자 스리 므난티의 7대 양 디-페르투안 베사르인 투앙쿠 무하마드 이브니 투앙쿠 안타와 그의 두 번째 부인 툰쿠 푸안 치크 사이에서 태어난 둘째 아들이었다.

즘폴 말레이 학교에서 초등 교육을 받았고, 1907년부터 1914년까지 말레이 칼리지에서 교육을 받았다. 쿠알라룸푸르의 연방 사무국에서 1년 동안 근무한 후 세렘반의 토지 수입 보조 징수관으로 임명되었다. 1918년 말라야 의용 보병대에서 소위로 복무하여 중위로 진급했다.[2]

1917년 형 툰쿠 압둘 아지즈가 사망하자 왕위 계승자로 훈련받았으며 툰쿠 무다 스르팅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이후 클랑의 말레이 보조 관리로 임명된 후 스팡으로 전근했다. 울루 슬랑고르에서 토지 수입 보조 징수관으로 근무했다. 끈기와 근면함으로 지방관보로 승진했고, 1925년 쿠알라룸푸르 대법원에서 잠시 근무하며 경력의 전환점을 맞았다.

1925년, 느그리슴빌란의 통치자였던 아버지와 함께 영국 웸블리에서 열린 대영 제국 전시회에 참석하고 조지 5세 국왕을 알현하기 위해 영국을 방문했다. 영국으로 가는 길에 법을 공부하고 싶다는 결심을 했고,[1] 아버지 투앙쿠 무하마드의 승인을 받아 학업을 마치고 법학 학위를 받을 때까지 영국에 머물렀다.

이너 템플에서 변호사 자격을 얻기 위해 더 머물렀고, 3년 후인 1928년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1] 런던에서 초기 말레이 민족주의 단체 중 하나인 케사투안 멜라유 유나이티드 킹덤의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28년 12월 말라야로 돌아와 말라야 민간 행정부에서 여러 지역에서 근무했다.[3] 처음 몇 년 동안 열심히 일하여 치안 판사가 되었고, 이후 지방관으로 임명되었다.

3. 법조 경력

1925년 쿠알라룸푸르 대법원에서 근무하며 법조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는 영국으로 건너가 법을 공부하겠다는 결심을 하였고,[1] 이너 템플에서 변호사 자격을 얻기 위해 영국에 머물렀다. 3년 후인 1928년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1] 런던에서 그는 초기 말레이 민족주의 단체 중 하나인 케사투안 멜라유 유나이티드 킹덤의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28년 12월 말라야로 돌아온 그는 말라야 민간 행정부에서 여러 지역에서 근무했다.[3] 처음 몇 년 동안 열심히 일하여 치안 판사가 되었다. 그 후 그는 지방관으로 임명되었다.

4. 느그리슴빌란 통치자

1933년, 부친이 사망하자 그는 느그리슴빌란의 왕위에 올랐다.[1] 그는 당시 이미 변호사였으며, 이는 말레이 통치자 중 유일하게 변호사 및 사무 변호사 자격을 갖춘 인물이었다.

압둘 라만(그는 그렇게 불리게 되었다)은 영국 심문관에게 말라야가 일본에 군사 점령(1942–1945) 당했을 때 일본을 옹호하는 연설을 했다고 진술했지만, 이는 강압에 의한 것이었으며 일본이 그의 왕실 특권을 강제로 빼앗았다고 밝혔다.[4]

이후 그는 말라얀 연합 조약에 서명했지만, 나중에 이를 부인했으며, 케다흐의 술탄 바들리샤의 제안에 따라 클레멘트 앳틀리 정부의 말라얀 연합 계획에 반대하는 말레이 통치자들의 소송을 대리하기 위해 런던에 본사를 둔 변호사를 고용했다.[5]

5. 말레이시아 초대 국왕

압둘 라만은 1957년 8월 31일, 독립 말라야의 초대 국왕(최고 통치자)으로 선출되었으며, 임기는 5년이었다. 그는 8대 1로 파항의 술탄 아부 바카르를 꺾고 선출되었다.[6]

1957년 9월 2일 국립 궁전에서 독립 말라야의 초대 양 디-페르투안 아공으로 즉위했다.

말레이 군주들은 전통적으로 왕관을 소유하지 않기 때문에, 그는 노바트의 장단에 맞춰 국왕의 왕실 크리스(keris kerajaan)에 입을 맞춤으로써 즉위했는데, 이는 그 이후 모든 양 디-페르투안 아공이 따라온 전통이다.

압둘 라만을 기리기 위해 말레이시아의 모든 후임 양 디-페르투안 아공은 머리 장식을 느게리슴빌란에서 사용되는 스타일인 '덴담 탁 수다'(문자 그대로는 끝나지 않는 복수)를 사용해 왔다.[7]

6. 사망과 장례

압둘 라만은 1960년 4월 1일 이른 아침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이스타나 네가라에서 수면 중 사망했다. 빈소는 이스타나 네가라 연회장에 마련되었다. 1960년 4월 2일, 쿠알라룸푸르에서 국장 행렬이 거행되었으며, 압둘 라만의 시신을 실은 관은 기차로 세렘반으로 옮겨진 후 영구차로 이스타나 베사르 세리 메난티로 운구되었다. 그는 1960년 4월 5일 누게리 세임빌란 세리 메난티에 있는 왕족 묘역에 안장되었다.

7. 유산

압둘 라만의 초상화는 1967년 첫 번째 시리즈가 발행된 이후 말레이시아 링깃 지폐의 앞면에 등장했다.[1]

투안쿠 압둘 라만 학교(Tuanku Abdul Rahman School, 약칭 STAR)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지원하는 말레이시아의 최우수 남자 기숙 학교로, 압둘 라만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학교는 1957년에 이포에 세워졌다.[2]

8. 민주주의 신념

투앙쿠 압둘 라만은 의회 민주주의를 굳게 믿었다. 1959년 중동의 한 외교 사절이 툰쿠 압둘 라만 푸트라 알하지 총리의 "독선적인" 태도에 불만을 품고 국왕에게 총리 해임을 요구했을 때, 투앙쿠 압둘 라만은 "아, 그를 해임할 수 없습니다. 그는 국민이 선출했고, 이 나라의 총리로서 그가 나를 해임할 수 있습니다!"라고 답했다.[9]

9. 가족 관계

투앙쿠 압둘 라만은 네 번 결혼했다.

결혼 시기배우자비고
1919년덜시 캠벨 (이슬람교 개종 후 치크 마이무나)이혼[10]
1920년퉁쿠 마하루 빈티 퉁쿠 맘방이혼[10]
1929년퉁쿠 쿠르시아 빈티 퉁쿠 베사르 부르하누딘훗날 말라야의 초대 라자 뻬르마이수리 아궁(왕비)
1948년퉁쿠 자이다 빈티 퉁쿠 자카리아[11]



체 잉쿠 마이무나 빈 압둘라, 투앙쿠 압둘 라만의 전 부인이자 투앙쿠 자파르의 어머니. 세렘반 투앙쿠 자파르 왕립 갤러리.


압둘 라만은 슬하에 3남 5녀를 두었다.

부인자녀
퉁쿠 마하루 빈티 퉁쿠 맘방투앙쿠 무나위르
치크 잉쿠 마이무나 (덜시 캠벨)퉁쿠 아이다
투앙쿠 자파르
퉁쿠 쉴라
퉁쿠 압둘라
퉁쿠 쿠르시아 빈티 퉁쿠 베사르 부르하누딘두 딸
퉁쿠 자이다 빈티 퉁쿠 자카리아막내딸



그의 두 아들은 느그리슴빌란의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 직위를 계승했다.


  • 투앙쿠 무나위르(퉁쿠 마하루의 아들): 1960년부터 1967년까지 제9대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로 재위.
  • 투앙쿠 자파르(덜시 캠벨의 아들): 1967년 형의 뒤를 이어 제10대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가 되었고, 2008년 12월 27일까지 재위.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제10대 양 디-퍼르투안 아공 역임.


그의 손자인 투앙쿠 무흐리즈가 현재 제11대 느그리슴빌란의 양 디-퍼르투안 베사르이다.

그의 딸 술타나 바히야는 셋째 부인 퉁쿠 쿠르시아와의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1958년 남편 술탄 압둘 할림의 즉위로 케다 주의 술타나가 되어 2003년 사망할 때까지 재임했다. 그녀는 또한 1970년부터 1975년까지 제5대 말레이시아 라자 뻬르마이수리 아공을 역임했다.

10. 취미와 관심사

투앙쿠 압둘 라만은 크리켓, 축구, 테니스와 같은 스포츠에 관심을 가졌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는 권투였다. 젊은 시절에는 아들들과 권투를 하기 위해 권투 장갑을 착용하곤 했다.

11. 서훈

투앙쿠 압둘 라만은 1958년 국가 훈장 (DMN)을 수훈받았고,[13] 1959년에는 브루나이의 라일라 우타마 가문 훈장 1등급 회원(DK)으로 '''다토 라일라 우타마''' 작위를 받았다.[1]

11. 1. 국내 서훈

국가 훈장 (DMN) 수훈자 (1958년)[13]

11. 2. 해외 서훈

국가훈장
United Kingdom|영국영어성 마이클과 성 조지 훈장 기사단장 (KCMG) - (1934년)[1]
United Kingdom|영국영어조지 5세 은혼 기념 메달 (1935년)[1]
United Kingdom|영국영어조지 6세 대관식 메달 (1937년)[1]
United Kingdom|영국영어엘리자베스 2세 대관식 메달 (1953년)[1]
United Kingdom|영국영어성 마이클과 성 조지 훈장 대십자 기사 (GCMG) - (1957년)[1]
Brunei|브루나이영어라일라 우타마 가문 훈장 1등급 회원 (DK) - 다토 라일라 우타마 (1959년)[1]


참조

[1] 백과사전 Abdul Rahman, Tuanku https://archive.org/[...]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 서적 Takhta Kerajaan Negeri Sembilan Utusan Printcorp Sdn Bhd
[3] 문서 ibid
[4] 서적 Malaya: Part I The Malayan Union Experiment 1942–1948 HMSO
[5] 서적 The Sultan Was Not Alone State Museum, Kedah Darul Aman
[6] 뉴스 Sunday Times, Singapore Sunday Times 1957-08-04
[7] 간행물 The Straits Times Annual The Straits Times
[8] 간행물 The Death and Funeral of His Late Majesty Tuanku Abdul Rahman Malayan Historical Society, Kuala Lumpur
[9] 서적 Looking Back Pustaka Antara
[10] 서적 The Royal Families of South East Asia Shahindera Sdn Bhd
[11] 문서 op cit
[12] 서적 Tunku Abdullah – A Passion for Life All-Media Publications
[13] 웹사이트 Senarai Penuh Penerima Darjah Kebesaran, Bintang dan Pingat Persekutuan Tahun 1958. http://www.istiadat.[...]
[14] 뉴스 KING’S JUBILEE MEDAL AWARDS IN MALAYA https://eresources.n[...] 1935-05-30
[15] 뉴스 CORONATION MEDALS FOR MALAYA https://eresources.n[...] 1937-05-26
[16] 간행물 London Gazette 1956-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